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이동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여주시죠. 사랑론. 사랑을 이야기한 두 사람은 누굴까요? <br> <br>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랑이 오늘 정치권에서 화제가 됐습니다. <br><br>Q. 어떤 사랑 이야기인가요? <br><br>아내에 대한 사랑을 말한 건데요. <br> <br>윤 전 총장 장모는 어제 요양급여 부정수급 혐의로 징역 3년을 구형받았죠. <br> <br>방송인 김어준 씨가 이 문제를 지적하자, 오늘 이준석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는 사랑 이야기를 꺼냈습니다. <br><br>출처 : TBS 라디오 '김어준의 뉴스공장' <br>[김어준 / 진행자] <br>(윤석열 장모는) 금융사기에 가까운 그런 사건이라. <br> 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] <br>김어준 씨는 뭐가 사랑이라고 보세요? <br>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] <br>와이프 분이 진짜 사랑스러운데. <br> <br>[김어준 / 진행자] <br>그러니까 제 말은 사랑의 문제가 아니라…. <br> 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] <br>장모가 진짜 무슨 어떤 결격 사유가 있을 것 같다. 그걸 미리 알았으면 그러면 와이프를 버려야 되냐. <br><br>Q. 장모를 보고 결혼하는 건 아니지 않냐는 이야기인데, 이 이야기가 나온 게 김어준 씨가 노무현 전 대통령 사례를 언급하면서 시작됐더라고요. <br><br>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2년 대선 경선 당시 장인의 좌익 논란에 휩싸였을 때 이 한 마디로 반격에 성공했습니다. <br><br>출처 : 영화 <노무현입니다> <br>[고 노무현 / 당시 새천년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(2002년 4월)] <br>아내를 제가 버려야 합니까? 그런 아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신다면 저 대통령 후보 그만두겠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윤석열 전 총장도 사랑론에 대한 질문을 받은 적이 있는데요. <br><br>어떻게 답했을까요? <br> <br>[김진애 / 당시 열린민주당 의원 (지난해 10월)] <br>(제가) 아직도 사랑에 대해서 잘 몰라요. 부인을 지켜주시고 부인의 가족을 지켜주시려고 하는 이런 게 (사랑) 아닌가. <br> <br>[윤석열 / 당시 검찰총장 (지난해 10월)] <br>저희 집사람은 어디 가서 남편이 공무원이다, 검사라는 얘기도 안 합니다. <br> <br>윤 전 총장이 본격적으로 등판하면 장모 논란이 다시 나올텐데 어떻게 대응할지 궁금하네요.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극락과 나락,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? <br> <br>어제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자 토론회 온라인 채팅창에 수차례 올라온 단어인데요. <br> <br>지지하는 후보자는 극락으로 가고, 싫어하는 후보자는 나락으로 떨어지라는 뜻입니다. <br><br>Q. 불교 용어로 천국과 지옥이죠. 온라인 채팅창이 어제 아주 뜨거웠다면서요? <br> <br>실시간 접속자 수가 5만 명을 넘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각 후보가 발언 할 때 어떤 반응이 나왔는지 영상으로 준비해 봤습니다. <br> <br>[주호영] <br>정치는 종합예술입니다. 어느 것 하나 고집하고 나머지를 버릴 것이 아니라 이 두 가지를 적절히 배합해서…. <br> <br>[조경태] <br>아마 국민들이 바라는 후보가 되면 우리 당에 어떤 관심도가 매우 높아질 것이다. <br> <br>[이준석] <br>공정하고 엄격한 룰을 통해서 저희가 경선을 운영하고 오히려 그것이 플랫폼화 되어야지만 많은 주자들이 참여할 것이다. <br> <br>[홍문표] <br>우리는 공신력을 얻어야 되고 국민으로부터 그와 같은 뒷받침에 호응을 받지 않으면 우리는 다음에 대권잡기 어렵습니다. <br> <br>[나경원] <br>윤석열 후보가 우리 당에 들어오지 않았어도 그냥 버스는 출발하겠다는 이야기로 이해해도 되겠습니까? <br><br>Q. 지금 본 화면이 실시간 채팅창인 거죠. 말들이 다 짧고 언뜻 이해가 안 되는 단어도 많네요. <br> <br>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유행어인데요. <br> <br>2~30대 남성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이준석 후보 지지글이 많이 올라오는데, 이들이 적극적으로 댓글을 달고 있습니다. <br><br>이 커뮤니티에는 국민의힘 입당을 인증하는 게시물도 여러 건 올라왔습니다.<br><br>Q. 그런데 채팅 내용을 보니, 인신 공격성 단어들도 많이 보이더라요. <br> <br>후보들의 얼굴이나 표정을 평가하거나 틀로 시작하는 단어 등 특정 세대를 비하하는 단어가 눈에 띄었는데요.<br><br><br> <br>2030 세대가 정치에 관심을 갖는 건 반가운 일이지만 지지하지 않는 후보를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표현을 사용하는 건 자제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. <br><br>Q. 세대와 무관하게 상대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정치 문화는 민주주의의 기본입니다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